Swift의 열거형(enumeration, enum)에 대해서 작성해봅니다. 열거형은 유사성을 가진 값들을 공통된 타입으로 선언해서, 형 안정성(type-safety)을 보장하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rawValue와 관련값을 가질 수 있고, 일급객체이기 때문에 계산프로퍼티, 함수를 작성할 수 있고 초기화를 지정하거나 확장도 가능합니다. 열거형의 기본 문법 열거형의 기본 문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열거형은 타입 정의와 같기 때문에 네이밍을 파스칼표기법으로 해주고, case문에는 카멜표기법으로 해줍니다. enum SomeEnum { case someCase case anotherCase case otherCase } 사용 예. enum Almond { case honeyButter case wa..
Swift 5.0부터 도입된 Result타입에 대해 정리해봅니다. Result타입은 실패가 가능한 작업을 할 때 기존에 성공시 원하는 데이터를, error발생시 Error를 throw하는 문법 대신에 Result타입을 던지도록 되어 있는 문법입니다. 이걸 도입한 이유는 기존에 error를 처리하던 throw방식에 몇가지 문제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기존 throw, do, try, catch 문법 Result타입을 보기 전에 먼저 기존의 throw문법을 보겠습니다. 아몬드를 주문하는 예제입니다. enum AlmondOrderError: Error, CaseIterable { case invalidSelection // 잘못된 선택 case lackOfMoney // 예산 부족 case outOfSto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