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

· Dev Terms
의존성, 의존성 주입, 의존성 역전에 대해서 정리하려고 합니다. 의존성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을 때, 'A클래스는 B클래스에 의존성을 갖는다'라고 합니다. class A { let b = B() // 'A클래스는 B클래스에 의존성을 갖는다' } class B { } 이때 객체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곳(A)을 클라이언트(Client)라고 부르고, 의존성(a dependency)은 사용되는 객체 인스턴스(B)를 말합니다. '의존성이 변하면,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관계'입니다.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 위 코드는 의존성을 클라이언트가 직접 인스턴스를 만들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의존성의 인스턴스를 외부로부터 생성하여 전달받는 것을 의존성 주입라고 부릅니다. clas..
SwiftyCody
'DI' 태그의 글 목록